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은 지미 헨드릭스가 1970년 사망 당시 작업 중이던 더블 앨범으로, 여러 곡이 다양한 개발 단계에 있었다. 헨드릭스의 유족은 1997년, 에디 크레이머와 함께 원래 마스터 녹음을 사용하여 헨드릭스의 계획을 최대한 실현한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Freedom〉, 〈Dolly Dagger〉, 〈Ezy Ryder〉 등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었으며, 빌보드 200에서 49위, 영국 음반 차트에서 37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미 헨드릭스의 음반 - Midnight Lightning
《Midnight Lightning》은 1975년에 발매된 지미 헨드릭스의 사후 앨범으로, 앨런 더글러스가 미발표 녹음에 세션 뮤지션들의 연주를 덧씌워 원본 훼손 논란이 있었으며, "Trash Man", "Midnight Lightning" 등의 곡과 미치 미첼이 참여한 원본 녹음 "Hear My Train"이 수록되었다. - 지미 헨드릭스의 음반 - The Cry of Love
《The Cry of Love》는 지미 헨드릭스가 사망 전 작업한 미완성 곡들을 모아 1971년 발매된 사후 앨범으로, 새로운 음악적 방향을 담고 있으며 에디 크레이머와 미치 미첼이 믹싱 및 트랙 선정 작업을 통해 발매 후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으며 헨드릭스의 음악적 유산을 잇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1997년 컴필레이션 음반 - The Past and Now
The Past and Now는 1991년 스트라토바리우스가 발매한 컴필레이션 음반으로, 초기 앨범의 곡들을 모아 "The Hands of Time", "Future Shock", "Twilight Time" 등 초기 명곡들을 포함하여 총 62분 17초 분량으로 구성되었다. - 1997년 컴필레이션 음반 - Queen Rocks
《Queen Rocks》는 1997년에 발매된 퀸의 헤비 록 음악을 모은 컴필레이션 음반으로, 퀸의 히트곡과 미발매곡, 리메이크 버전, 마지막 스튜디오 녹음곡 등을 수록하고 있다. - 유작 음반 - Life After Death
노토리어스 B.I.G.의 사후 앨범인 Life After Death는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힙합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가 되었고 갱스터 랩의 주류 음악 시장 진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작 음반 - American V: A Hundred Highways
American V: A Hundred Highways는 조니 캐시의 사후 앨범이자 American Recording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생전 녹음곡들과 마지막 자작곡 "Like the 309" 등이 수록되어 발매 후 평론가들의 호평과 함께 여러 국가에서 차트 1위를 차지했다.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유형 | 컴필레이션 |
아티스트 | 지미 헨드릭스 |
발매일 | 1997년 4월 |
녹음 | 1968년 3월 13일 ("My Friend") 1969년 12월 18일 ~ 1970년 8월 24일 |
장르 | 록 하드 록 블루스 록 사이키델릭 록 펑크 |
길이 | 69분 27초 |
레이블 | MCA (오리지널) 레거시 / 컬럼비아 (재발매) |
프로듀서 | 지미 헨드릭스 에디 크레이머 미치 미첼 존 얀센 |
이전 음반 | 부두 수프 (1995년) |
다음 음반 | Experience Hendrix: The Best of Jimi Hendrix (1997년) |
2. 배경
1970년 지미 헨드릭스는 사망 당시 LP 2장 분량의 더블 앨범을 작업하고 있었다. 그는 이 앨범의 제목으로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을 고려했지만,[40][3] ''People, Hell & Angels''나 ''Strate Ahead'' 같은 다른 제목도 후보에 있었다.[25] 수록될 곡들은 완성도가 제각각이었고, 약 6곡 정도만이 거의 완성된 상태로 추정된다.[40][3]
헨드릭스의 오랜 녹음 엔지니어였던 에디 크레이머와 드러머 미치 미첼은 헨드릭스가 남긴 곡들 중 가장 뛰어나다고 생각한 17곡을 선정했다. 이 곡들은 ''The Cry of Love''(1971), ''Rainbow Bridge''(1971), ''War Heroes''(1972) 등의 앨범을 통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40][3] 하지만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에는 프로듀서 앨런 더글러스가 감독한 다른 사후 컴필레이션 앨범들이 발매되었는데, 이 앨범들은 원곡을 임의로 변경하여 논란을 낳았다.[40][3] (앨런 더글러스의 작업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1990년대에 헨드릭스의 유족이 음악 저작권을 되찾고 익스피리언스 헨드릭스 재단을 설립하면서, 헨드릭스의 본래 의도를 살린 앨범 제작이 추진되었다. 그 첫 결과물이 바로 1997년에 발매된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에디 크레이머는 더글러스가 변경한 부분을 배제하고 원래의 마스터 녹음을 사용했으며, 헨드릭스가 남긴 메모와 곡의 완성도를 참고하여 헨드릭스의 계획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트랙을 선정하고 순서를 정했다.[30][41][9][4] 크레이머에 따르면 헨드릭스 본인이 완성했다고 인정한 곡은 'Dolly Dagger', 'Freedom', 'Izabella' 3곡뿐이었다.[27]
음악 평론가 리치 운터베르거는 이 앨범이 스튜디오 앨범이 아닌 컴필레이션으로 분류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그는 헨드릭스가 최종적으로 어떤 곡을 선택하고 어떤 방식으로 프로듀싱했을지는 아무도 확실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앨범이 헨드릭스가 의도한 네 번째 정규 앨범 그 자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42][5]
헨드릭스가 네 번째 앨범을 구상하게 된 배경에는 1970년 1월 밴드 오브 집시스의 해산 이후, 옛 동료인 드러머 미치 미첼과 다시 손잡고 녹음과 라이브 활동을 재개한 것이 있다. 헨드릭스는 LP 2장 이상의 분량으로 앨범을 만들 계획이었으며, A면부터 C면까지의 잠정적인 트랙 리스트를 적은 메모를 남기기도 했다.[25]
앨범에 수록된 곡 중 일부는 헨드릭스 생전에 이미 다른 형태로 선보인 바 있다. 예를 들어 'Room Full of Mirrors'는 익스피리언스 시절 라이브에서 연주했던 곡을 편곡한 것이고, 'Beginning'은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Jam Back at the House'라는 가제로 연주되었다. 'Stepping Stone'은 1970년에 잠시 싱글로 발매되기도 했다. 'Freedom', 'Dolly Dagger', 'Hey Baby (New Rising Sun)', 'Ezy Ryder', 'In From the Storm' 등 5곡은 1970년 8월 와이트 섬 음악제에서 라이브로 연주되었다.[26] 'In From the Storm'의 끝부분에는 제프 벡 그룹의 'Rice Pudding' 리프가 차용되기도 했다.[26]
헨드릭스가 남긴 메모에 있었지만 이 앨범에는 포함되지 않은 곡들도 있다. 'Valleys of Neptune', 'Cherokee Mist', 'Bleeding Heart', 'Hear My Train A Comin'(Getting My Heart Back Together Again)', 'Lover Man', 'Midnight Lightning'(데모), 'Send My Love to Linda' 등은 이후 익스피리언스 헨드릭스 재단을 통해 다른 앨범으로 발매되었다.[6][7] 'Come Down Hard on Me Baby', 'The Drifter's Escape', 'Burning Desire'는 ''Loose Ends''(1974) 앨범에 수록되었고,[8] 메모에 있던 'Coming Down Hard on Me'와 'Cherokee Mist'는 2000년에 발매된 박스 세트 ''The Jimi Hendrix Experience''에 포함되었다. 한편, ''The Cry of Love'' 앨범에 수록된 'My Friend'는 1968년 ''일렉트릭 레이디랜드'' 작업 시기에 녹음된 곡으로, 헨드릭스의 네 번째 앨범 구상 메모에는 없던 곡이다.
2. 1. 앨런 더글러스의 원곡 훼손 논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지미 헨드릭스의 사후 컴필레이션 앨범 제작을 감독했던 프로듀서 앨런 더글러스는 원곡을 상당 부분 변경하여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미치 미첼, 빌리 콕스, 버디 마일스와 같은 기존 멤버들의 베이스 및 드럼 연주 파트를 임의로 삭제하고, 그 자리에 세션 연주자들의 연주를 새로 녹음하여 오버더빙하는 방식을 사용했다.[40][3]이는 헨드릭스 본연의 음악적 의도를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나아가 더글러스는 특정 트랙에 여성 백 보컬을 추가하고, 여러 곡에 자신의 이름을 공동 작곡가로 올리는 등 원작자의 권리를 침해했다는 지적도 받았다.[40][3]
이러한 더글러스의 작업 방식과 대조적으로, 헨드릭스의 오랜 녹음 엔지니어였던 에디 크레이머는 1997년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컴필레이션을 제작할 때 더글러스가 변경한 부분을 배제하고 원래의 마스터 녹음을 사용했다. 크레이머는 헨드릭스가 남긴 개인적인 메모와 곡의 완성도를 바탕으로 트랙을 선정하고 배열함으로써, 헨드릭스의 본래 계획을 최대한 존중하고자 했다.[30][41][9][4]
3. 1997년 재발매
1970년 사망 당시 지미 헨드릭스는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이라는 가제를 염두에 둔 더블 앨범 분량의 곡들을 작업하고 있었다.[40][3] 곡들은 다양한 완성 단계에 있었으며, 약 6곡 정도만이 완성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40][3] 헨드릭스의 오랜 녹음 엔지니어였던 에디 크레이머와 드러머 미치 미첼은 이 곡들 중 최선이라고 판단한 17곡을 선정하여 《The Cry of Love》(1971), 《Rainbow Bridge》(1971), 《War Heroes》(1972) 앨범을 통해 처음 발표했다.[40][3]
하지만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프로듀서 앨런 더글러스가 감독한 다른 사후 컴필레이션에서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는 미첼, 빌리 콕스, 버디 마일스의 원래 베이스 및 드럼 연주를 지우고 세션 음악가들이 새로 녹음한 파트로 오버더빙했으며, 특정 트랙에 여성 백 보컬을 추가하고 여러 곡에서 자신을 공동 작곡가로 올리기도 했다.[40][3]
1990년대에 헨드릭스의 유족이 음반 원판권을 되찾고 익스피리언스 헨드릭스 재단을 설립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재단은 첫 공식 발매 작품으로 헨드릭스의 마지막 앨범 프로젝트를 제대로 복원하기로 결정했고, 1997년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을 발매했다. 에디 크레이머는 앨런 더글러스가 손댄 버전 대신 원래의 마스터 녹음을 사용했으며, 헨드릭스의 생전 계획과 개인적인 노트를 바탕으로 곡의 완성도를 고려하여 트랙을 선택하고 순서를 정했다.[30][41][9][4] 이는 헨드릭스의 본래 의도를 최대한 존중하고 실현하려는 노력이었다.[30][9]
이렇게 발매된 앨범은 상업적으로도 좋은 반응을 얻어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49위,[18] 영국 영국 음반 차트에서 37위를 기록했다.[19] 2010년에는 소니 레거시를 통해 리마스터 버전이 재발매되었으며, 제작 과정을 다룬 미니 다큐멘터리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An Inside Look"이 포함된 DVD가 함께 제공되었다.[20]
3. 1. 평가
리치 운터베르거는 그의 저서 ''Rough Guide to Jimi Hendrix'' (2009)에서 일부 팬들이 이 음반을 스튜디오 앨범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는 지미 헨드릭스가 직접 완성한 네 번째 앨범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헨드릭스가 어떤 곡을 포함하고 어떤 후반 작업을 했을지 아무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앨범은 사후 편집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5]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블렌더'' 리뷰에서 이 음반이 헨드릭스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Electric Ladyland》(1968)만큼 음악적으로 뛰어나거나 가사적으로 심오하지는 않다고 평가했다.[10] 그럼에도 그는 이 음반을 《The Cry of Love》의 적절한 후속작으로 보았으며, "작곡 실력이 계속 발전하고 솔로 연주가 좀처럼 실망시키지 않는 천재의 강력한 컬렉션"이라고 덧붙였다.[10]
''팝매터스''의 션 머피는 이 음반이 《The Cry of Love》보다 헨드릭스의 비전을 더 성공적으로 실현했다고 보았다. 그는 특히 베이시스트 빌리 콕스의 "자유로운 존재감"을 높이 평가하며, 노엘 레딩보다 발전된 연주를 보여주었다고 언급했다. 머피는 콕스의 연주 덕분에 밴드가 "그 위, 주변, 아래를 날아다니는 기타리스트를 쫓아가면서 펼쳐지도록" 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14]
''롤링 스톤'' 잡지는 이 앨범을 "헨드릭스에게 전환기였을 모습을 조명하는 응집력 있는 우주적 메시지"라고 칭찬했다.[22]
4. 곡 목록
모든 곡은 지미 헨드릭스가 작사/작곡했다.
4. 1. 스튜디오 녹음
모든 곡은 지미 헨드릭스 작사/작곡이다.# | 제목 | 원 수록 앨범 | 재생 시간 |
---|---|---|---|
1 | Freedom | 사랑의 외침 | 3:26 |
2 | Izabella | 워 히어로즈 | 2:50 |
3 | 나이트 버드 플라잉 | 사랑의 외침 | 3:50 |
4 | Angel | 사랑의 외침 | 4:21 |
5 | Room Full of Mirrors | Rainbow Bridge | 3:21 |
6 | 돌리 대거 | Rainbow Bridge | 4:44 |
7 | 이지 라이더 | 사랑의 외침 | 4:07 |
8 | Drifting | 사랑의 외침 | 3:48 |
9 | Beginnings이 기악곡은 1971년 오리지널 리프라이즈 레코드 앨범 워 히어로즈에서 작곡가로 미치 미첼이 이름을 올리며 "Beginning"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 워 히어로즈 | 4:12 |
10 | Stepping Stone | 워 히어로즈 | 4:12 |
11 | My Friend | 사랑의 외침 | 4:36 |
12 | Straight Ahead[28] | 사랑의 외침 | 4:42 |
13 | 헤이 베이비 (뉴 라이징 선) | Rainbow Bridge | 6:04 |
14 | Earth Blues | Rainbow Bridge | 4:21 |
15 | Astro Man | 사랑의 외침 | 3:34 |
16 | In From the Storm | 사랑의 외침 | 3:41 |
17 | Belly Button Window | 사랑의 외침 | 3:36 |
원래 MCA CD의 라이너 노트에서 세부 사항을 가져왔으며 다른 출처와 다를 수 있다.[24]
4. 2. 추가 곡
헨드릭스가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의 트랙 목록에 포함시키려고 했던 몇 곡의 추가 곡들은 나중에 Experience Hendrix에 의해 발매되었다. "Valleys of Neptune", "Cherokee Mist", "Bleeding Heart", "Hear My Train A Comin'" (일명 "Getting My Heart Back Together Again"), "Lover Man", "Midnight Lightning" (데모), 그리고 "Send My Love to Linda" 등이 있다.[6][7]한편, "Come Down Hard on Me Baby", The Drifter's Escape, 그리고 "Burning Desire" 세 곡은 1974년에 발매된 앨범 ''Loose Ends''에 수록되었다.[8]
4. 3. 각 곡의 초출 앨범
모든 곡은 지미 헨드릭스가 작사/작곡했다. 각 곡의 최초 수록 앨범 목록은 다음과 같다.번호 | 곡 제목 | 최초 수록 앨범 |
---|---|---|
1 | Freedom | The Cry of Love |
2 | Izabella | War Heroes |
3 | Night Bird Flying | The Cry of Love |
4 | Angel | The Cry of Love |
5 | Room Full of Mirrors | Rainbow Bridge |
6 | Dolly Dagger | Rainbow Bridge |
7 | Ezy Ryder | The Cry of Love |
8 | Drifting | The Cry of Love |
9 | Beginnings"Beginnings"는 1971년 오리지널 리프라이즈 레코드 앨범 War Heroes에서 작곡가로 미치 미첼이 이름을 올리며 "Beginning"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 War Heroes |
10 | Stepping Stone | War Heroes |
11 | My Friend | The Cry of Love |
12 | Straight Ahead | The Cry of Love |
13 | Hey Baby (New Rising Sun) | Rainbow Bridge |
14 | Earth Blues | Rainbow Bridge |
15 | Astro Man | The Cry of Love |
16 | In From the Storm | The Cry of Love |
17 | Belly Button Window | The Cry of Love |
5. 참여 뮤지션
MCA 레코드의 오리지널 앨범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CD 북클릿에서 발췌:[24]
'''밴드 멤버'''
- 지미 헨드릭스 – 리드 보컬, 기타, "My Friend"의 베이스 기타, "Earth Blues"와 "In from the Storm"의 백 보컬, 프로듀싱, "Freedom", "Nightbird Flying", "Dolly Dagger", "Room Full of Mirrors", "Ezy Ryder"의 오디오 믹싱
- 빌리 콕스 – 베이스 기타 ("My Friend"와 "Belly Button Window" 제외), "Earth Blues"와 "In from the Storm"의 백 보컬
- 미치 미첼 – 모든 트랙의 드럼 ("Room Full of Mirrors"와 "Ezy Ryder" 제외), 프로듀싱 ("Izabella", "Beginnings", "Stepping Stone" 제외), "Angel" 믹싱
'''추가 뮤지션'''
- 앨버트와 아서 앨런 (더 게토 파이터스) – "Freedom", "Izabella", "Dolly Dagger", "Stepping Stone"의 백 보컬
- 더 로네츠 (베로니카 베넷, 에스텔 베넷, 네드라 탤리) – "Earth Blues"의 백 보컬
- 주마 술탄 – 타악기 ("Freedom", "Dolly Dagger", "Beginnings", "Hey Baby (The New Rising Sun)", "Earth Blues", "Astro Man")
- 버디 마일스 – "Room Full of Mirrors"와 "Ezy Ryder"의 드럼, "Earth Blues"의 백 보컬
- 빌리 암스트롱 – "Ezy Ryder"의 타악기
- 버지 린하트 – 비브라폰 ("Drifting")
- 에머레타 마크스 – "In from the Storm"의 백 보컬
- 스티브 윈우드 – "Ezy Ryder"의 백 보컬
- 크리스 우드 – "Ezy Ryder"의 백 보컬
- 케니 파인 – "My Friend"의 12현 기타
- 지미 메이즈 – "My Friend"의 드럼
- 스티븐 스틸스 – "My Friend"의 피아노
- 폴 카루소 – "My Friend"의 하모니카
'''추가 인원'''
- 에디 크레이머 – 프로듀서, 엔지니어링, 믹싱, 사진, 리마스터링
- 존 얀센 – "Izabella", "Room Full of Mirrors", "Dolly Dagger", "Beginnings", "Stepping Stone", "Hey Baby (New Rising Sun)", "Earth Blues" 프로듀싱; "Izabella", "Beginnings", "Stepping Stone", "Hey Baby (New Rising Sun)", "Earth Blues" 믹싱
- 토니 봉기오비 – "Room Full of Mirrors" 엔지니어링
- 잭 에이브럼스 – "Ezy Ryder" (1969) 엔지니어링
- 밥 휴즈 – "Ezy Ryder" (1970), "Earth Blues" (1970) 엔지니어링
- 밥 코토 – "Earth Blues" (1969) 엔지니어링
- 존 맥더멋 – 라이너 노트, 리마스터링 감독
6. 커버
참조
[1]
서적
The Jimi Hendrix Story: New Edition, Including Updated Discography
IPS Books
[2]
웹사이트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snd}}Looking Back at the Making of This Legendary Album
https://www.jimihend[...]
2022-04-27
[3]
웹사이트
Jimi Hendrix Posthumous, Out-Of-Print Albums To Be Reissued
http://www.musictime[...]
Music Times
2014-08-20
[4]
서적
Hendrix on Hendrix: Interviews and Encounters with Jimi Hendrix
Chicago Review Press
[5]
서적
The Rough Guide to Jimi Hendrix
Penguin
[6]
서적
Ultimate Hendrix
Backbeat Books
[7]
문서
[8]
서적
Jimi Hendrix: Electric Gypsy
https://archive.org/[...]
St. Martin's Griffin
[9]
AllMusic
2011-09-06
[10]
잡지
Back Catalogue: Jimi Hendrix
http://www.robertchr[...]
2014-07-01
[11]
잡지
Review
1997-08
[12]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13]
뉴스
Another Chance to Experience Hendrix
https://www.latimes.[...]
2016-05-26
[14]
웹사이트
God Is Not Dead: The Jimi Hendrix Re-Issues
http://www.popmatter[...]
2015-08-09
[15]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16]
웹사이트
Streamnotes (November 2018)
http://tomhull.com/o[...]
2020-07-22
[17]
잡지
Higher than the sun
1997-06
[18]
AllMusic
2011-09-06
[19]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Company - Jimi Hendrix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11-09-06
[20]
웹사이트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CD/DVD Deluxe & Vinyl Editions
https://www.jimihend[...]
2010-03-09
[21]
서적
Christgau's Consumer Guide: Albums of the '90s
https://archive.org/[...]
St. Martin's Griffin
[22]
잡지
Review
1997-08-07
[23]
AV media notes
War Heroes
Reprise Records
[24]
AV media notes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MCA Records
[25]
문서
[26]
웹사이트
Classic Rock Review Jimmi Hendrix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
https://classicrockr[...]
2024-10-01
[27]
간행물
ジミが最も信頼したスタッフ エディ・クレイマーの証言
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1997-08
[28]
문서
[29]
웹사이트
TOTO公式サイト
http://www.toto99.co[...]
[30]
AllMusic
2011-09-06
[31]
잡지
Back Catalogue: Jimi Hendrix
http://www.robertchr[...]
2014-07-01
[32]
잡지
Review
1997-08
[33]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34]
뉴스
Another Chance to Experience Hendrix
http://articles.lati[...]
2016-05-26
[35]
웹인용
God Is Not Dead: The Jimi Hendrix Re-Issues
http://www.popmatter[...]
2015-08-09
[36]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37]
웹인용
Streamnotes (November 2018)
http://tomhull.com/o[...]
2018-11-30
[38]
웹인용
First Rays of the New Rising Sun{{snd}}Looking Back at the Making of This Legendary Album
https://www.jimihend[...]
2022-04-27
[39]
서적
The Jimi Hendrix Story: New Edition, Including Updated Discography
IPS Books
[40]
웹인용
Jimi Hendrix Posthumous, Out-Of-Print Albums To Be Reissued
http://www.musictime[...]
Music Times
2014-08-20
[41]
서적
Hendrix on Hendrix: Interviews and Encounters with Jimi Hendrix
Chicago Review Press
[42]
서적
The Rough Guide to Jimi Hendrix
Pengu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